영광군이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클러스터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햇빛 바람연금도시’로 도약을 예고하고 있다.
총 11GW 발전 설비와 80조 원의 민간자본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에너지 전환을 넘어, 지역 소득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아우르는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영광군은 ‘햇빛 바람연금도시’로의 전환을 선언하며,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
100% 민간자본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총 11GW 규모의 설비를 갖춘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총 투자액은 약 80조 원에 달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한화오션,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등 국내 유수의 대기업 17개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정부 보조금 없이 순수 민간자본으로 추진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영광군은 발전 수익을 지역 주민에게 ‘연금’ 형태로 환원하는 새로운 소득 분배 구조도 도입할 예정이다. 이른바 ‘햇빛 바람연금’은 해상풍력 및 태양광 발전 등에서 발생한 수익을 현금 또는 지역 화폐로 주민에게 장기적으로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장세일 군수는 이에 대해 “단순한 복지 정책이 아니라, 지역 자산을 기반으로 한 구조적 소득 분배”라며, “지역 경제의 선순환과 기후위기 대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영광군과 사업 참여 기업들은 지난 3월 ‘영광군 해상풍력 발전사 협의회’를 출범시켰다.
협의회는 발전이익 공유, 산업 생태계 조성, 주민 소통강화라는 세 가지 핵심 과제를 공동 수행하며, 지역과의 상생을 명문화했다.
현재 영광 앞바다에는 총 17개 해상풍력 단지가 계획되어 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이미 발전 허가를 마쳤거나 공사에 착수했으며, 전체 11GW 규모의 설비가 순차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낙월해상풍력 단지는 전남 송이도 인근에 건설 중이며, 오는 2027년 상반기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광군은 난개발을 방지하고 송전 인프라의 효율화를 위해 ‘대용량·집중형 설비 도입 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인프라 구축에는 여전히 과제가 존재한다. 현재 영광의 송전망은 154kV급에 머물러 있으며, 11GW 전력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345kV급 이상의 국가 전력망 확충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영광군은 한국전력에 정식 건의서를 제출했고, 한국수력원자력과 기존 원전 송전망 공유 방안도 논의 중이다.
영광의 해상풍력은 단순한 에너지 생산을 넘어, 지역 산업 전반을 재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풍력 운영·유지보수 센터(O&M) 건설, 항만 인프라 개발, 관련 협력 기업 유치 등이 함께 추진되며, 수천 개의 일자리와 수백 개의 기업이 창출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또한, 에너지 독립, 지역균형 발전, 탄소 중립, 그리고 소득 재분배라는 네 가지 국가적 과제를 한 지역 모델로 통합한 실험이기도 하다. 해상에서 생산된 전기가 주민 소득이 되고, 그 수익이 지역산업에 다시 투자되는 선순환 구조는 향후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