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지방자치단체가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영광군이 올해 7월 말 기준 인구 53,033명을 기록하며 인구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93명 늘어난 수치로, 최근 수년간 지속되던 감소세를 뒤집는 이례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영광군의 현재 인구는 5년 전인 2020년의 53,099명 수준을 다시 회복한 것으로, 지방소멸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 지역 활력 회복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주목할 점은 청년층의 유입이다. 1년 사이 757명의 청년 인구가 늘었고, 같은 기간 6세 미만 영유아도 80명 증가했다. 수도권 집중으로 지방의 청년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영광군의 이러한 추세는 가족 단위의 정착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광군은 이 같은 흐름이 청년 맞춤형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영광군은 전국 최초로 청년발전기금 100억 원을 조성하고, ▲청년 전용 예산제 ▲청년 일자리 장려금 ▲취업 활동 수당 ▲주거비 지원 ▲창업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청년 주거 및 커뮤니티 공간 확보를 위한 ‘늘품빌리지’ 조성사업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영광군의 인구증가 배경에는 결혼과 출산 장려 정책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군은 ▲결혼장려금 500만 원 ▲난임 시술비 지원 ▲신생아 양육비 최대 3,500만 원 ▲출생기본수당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영광군은 6년 연속 합계출산율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출산 이후에도 주거 안정과 양육 여건을 지원하는 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오는 9월 개관 예정인 ‘영광청년육아나눔터’는 돌봄 기능과 커뮤니티 공간이 결합된 복합시설로, 청년 공동체 활성화 및 돌봄 공백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광군은 단순한 인구증가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자립 도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에너지→산업→일자리→인구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 중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기본소득 개념을 도입해 군민과 수익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지역 정주 여건을 개선하며 인구유입을 유도하는 전략도 추진되고 있다.
장세일 영광군수는 “단순한 인구유입을 넘어 청년과 가족이 뿌리내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결혼, 출산, 육아, 정주 여건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으로 인구 10만의 자립 도시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