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백수읍, 염산면 일대의 태양광 풍력 발전단지./사진=영광군


단순한 풍력 발전의 거점으로 인식됐던 영광군이 ‘에너지 산업도시’이자 ‘연금도시’로의 전환을 선언하며 주목받고 있다.
자연에서 얻는 전력 수익이 지역 산업과 교육, 재정까지 구조적으로 재편하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광군은 오는 2025년부터 2032년까지 ‘해상풍력 배후항만 및 지역산업 연계 기본계획’을 본격 추진한다. 해당 계획에는 해상풍력 전용 항만 확보, 접안시설 확충, 송·변전 인프라 구축, 부품업체 유치, 운영·유지보수(O&M) 센터 설립 등이 포함된다.
전력의 안정적인 송출을 위해서는 고압 전력 인프라 확보가 시급하다.
영광군은 기존 154kV 설비로는 11GW 규모의 전력을 감당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한국전력에 345kV급 국가 송전망 구축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전용 송전망의 공동 활용 방안도 제안한 상태다.
에너지산업의 고도화는 고용과 인재 양성으로 이어진다.
영광군은 해상풍력 O&M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고졸자 및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특화 과정도 준비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전문대학 및 기술교육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교육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기업 참여도 확대된다.
영광군은 풍력 부품 및 유지보수 산업에서 지역 기업의 30% 이상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대기업 협력사 유치 및 지역 상생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이다.
에너지산업에서 나오는 수익은 지방세외수입으로 환원되고 있다. 발전사업자 기부금, 송전선 임대료, 공유수면 사용료 등이 주요 재원으로, 영광군은 이를 바탕으로 자체 에너지 기금을 조성 중이다. 이는 단순한 재정 보완을 넘어, 지역의 순환경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평가된다.
민간 주도의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 외에도, 영광군은 공공이 주도하는 마을 단위 태양광 발전소 설치에 나서고 있다. 2025년에는 20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15곳이 시범 운영될 예정이며, 설치비의 절반은 군이 보조한다. 예상 수익은 연간 약 130만 원으로, 마을 공동기금 또는 공공사업에 활용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군유지 및 공유수면을 활용한 대규모 태양광 단지도 추진 중이다. 주민 참여형 수익 모델로 설계돼, 지역 주민과 군 재정 모두에 실질적인 이익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광군의 전략은 중앙정부 주도의 정책이 아닌, 지방정부의 독립적 기획과 실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인프라 구축, 산업 생태계 조성, 교육과 고용, 재정까지 하나의 순환 구조로 엮인 정책 중심에는 ‘에너지 소득’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
기후위기와 지방소멸이라는 두 과제에 직면한 대한민국. 그러나 영광군의 사례는, 햇빛과 바람을 기반으로 지방이 주체가 되는 시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