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이 지역 먹거리에 대한 생산·유통·소비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및 먹거리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선다.
영광군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212억 5천만 원을 투입하여, 총 17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된 ‘지역먹거리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역농산물 이용을 촉진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며, 먹거리 안전성과 형평성 강화, 그리고 지역공동체 기반의 경제 활성화를 포괄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종합계획 수립 배경에는 국내 먹거리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기후위기, 경제양극화 심화 등으로 인해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먹거리 체계의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식품안전사고의 반복 발생은 지역민들에게 ‘믿고 먹을 수 있는 로컬푸드’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고 있으며, 영세 소농 중심의 농업구조 역시 새로운 유통망과 공공 조달 중심의 정책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다.
영광군은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생산에서부터 가공, 유통, 소비, 재활용까지 이어지는 ‘지역먹거리 순환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군은 이를 통해 지역 내 농업인의 소득 안정과 소비자의 건강한 먹거리 접근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
또한, 먹거리를 매개로 지역공동체를 강화하고, 농업의 공익적 가치와 복지적 역할을 동시에 추구하는 다층적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추진 전략 측면에서는 생산·유통 시스템 고도화, 공공복지 연계 강화, 안전한 소비 기반조성, 정책·제도 정비 등 4대 추진 방향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 영광군은 거버넌스 체계의 단일화를 꾀하고 있다.
‘영광군 먹거리 위원회’를 중심으로 해서, 영광군과 군의회가 정책과 제도를 공동으로 관리·감독하는 구조를 구축하며, 로컬푸드, 공공급식, 안전관리 등 관련 기능을 통합한 ‘푸드플랜 단일 조직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영광군은 생산영역에서 원예농산물 중심의 기획생산체계를 자율적 조직 기반으로 확대하고, 로컬푸드 직매장과 꾸러미사업 참여 농가를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유통·소비 영역에서는 산지유통을 제외한 학교급식, 기업급식 등 공공·민간 공급망을 단계적으로 정비할 예정이다.
안전영역에서는 농업기술센터를 주축으로 한 먹거리 안전체계를 강화하고, 주민이 참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주요 사업별로는 지역먹거리 제도 기반 정비와 생산자 조직화 등을 포함한 ‘기반조성 및 기획생산체계 구축’에 6억 원, 후계농과 청년농 중심의 원예시설 확충 및 농식품 확대를 위한 ‘안전먹거리 생산시스템 구축’에 약 36억 원, 로컬푸드 직매장 확대와 온라인 유통망 지원을 포함한 ‘유통체계 활성화’에 약 14억 원, 공공복지 연계 사업으로 ‘우리마을 공동부엌’ 운영 및 친환경 학교급식 확대 등을 추진하는 ‘소비활성화 및 먹거리 복지 실현’ 분야에 102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영광군 관계자는 “이번 종합계획은 단순한 농정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전, 경제적 회복력을 아우르는 통합 전략”이라며, “모든 군민이 안심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누릴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