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이장단 협의회가 일부 단체의 해상풍력 발전 관련 보상 요구를 강하게 비판하며, 지역사회 혼란을 조장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이장단 협의회는 지난 8월 27일 발표한 성명에서 “영광군 어민을 빙자한 단체가 상식 밖의 불법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며, 이들의 행동이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고 지역사회의 분열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성명에 따르면, 어민을 빙자한 단체는 해상풍력 발전사업 피해가 일부 지역에 국한되는데도, 관련 없는 맨손어업인들까지 포함해 광범위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이장단 협의회는 “이미 과거 한빛원전 건설 당시 보상을 받은 어업인들이 다시 해상풍력 사업자에게 전체 맨손어업인을 대상으로 한 보상금을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협의회는 “바다와 갯벌은 모든 군민의 자산”이라며, “일부가 공공재산을 사유화하고, 해상풍력 사업으로 인한 이익을 독점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장단 협의회는 현재의 상황이 “지역사회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공공질서를 해치는 행위”라며, “군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영광군은 태양광과 풍력 발전사업의 이익을 지역 전체에 공유하는 방향으로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현재 진행 중인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국가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자,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사업”임을 강조했다.
협의회는 최근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를 받은 해상풍력 사업자에게 공식적인 간담회를 즉시 열 것을 촉구했다. 특히, “직간접 피해가 예상되는 송전선로 경과지 마을 주민 및 이장들과의 진정성 있는 소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번 간담회가 단순한 보여주기식 자리가 아닌, 사업 규모와 경제적 효과, 주민 참여제도 구조 등을 투명하게 설명하는 소통의 장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장단 협의회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민간 기업의 이익만을 위한 일회성 프로젝트가 아니라, 영광군민 전체가 이해하고 참여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사업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공공자원인 바다를 이용하는 만큼, 이익도 공공적으로 분배되어야 하며, 이는 다수 군민의 참여와 공감 속에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성명서 말미에서 “해상풍력 사업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끝까지 감시할 것”이라며,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피해조사를 바탕으로 한 정당한 보상, 그리고 지역사회 전체의 이익 공유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아울러, “공익사업이 특정 집단의 사익을 위해 공익사업이 망가지는 것을 좌시하지 않겠다”며, “법과 원칙에 따른 사업 추진을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영광군 어민을 빙자한 단체는 상식 밖의 행동을 중단하고, 지역사회의 공동 이익을 위한 건설적인 협력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