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일 군수가 조아라 청년부군수와 청년전용예산제 정책 제안사업을 검토하고, 2026년도 예산 편성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영광군
영광군이 청년의 목소리를 행정에 직접 반영하는 ‘청년 전용 예산제’ 정책 제안사업을 검토하고, 2026년도 예산 편성 방안을 논의했다고 11일 밝혔다.
장세일 영광군수와 조아라 청년 부군수는 청년들이 제안한 2025년도 정책 사업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실행 가능성을 검토했다.
청년전용예산제는 청년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실질적 정책으로 반영하는 제도이다. 군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4년간 총 10억 원 규모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군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총 11건의 청년 제안사업이 선정돼 약 6억 3,400만 원이 반영됐다. 이 가운데는 청년 창업 지원, 취업 활동 지원, 문화·복지 향상 등 청년 맞춤형 정책이 포함됐다.
올해도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진행된 공모에서는 총 13건의 정책 제안이 접수됐다. 군수와 청년부군수는 이 중 실행 가능성과 타당성이 높은 제안을 선별해 2026년도 예산에 반영하기로 했다.
주요 제안사업에는 청년의 날 행사 확대, 청년 네트워크 활성화, 미취업 청년 대상 운전면허 취득 지원, 청년 강연 프로그램 운영 등이 있다.
장세일 군수는 “청년이 주도적으로 제안하고 논의한 정책이 실제 예산으로 반영되는 과정은 지역발전의 핵심 동력”이라며, “앞으로도 청년의 목소리를 군정에 적극 반영해 실질적 변화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아라 청년부군수는 “청년전용예산제는 청년의 아이디어가 제도적으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소중한 통로”라며, “청년의 능력 개발, 창업 육성, 생활 안정까지 다양한 수요를 정책에 녹여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영광군은 청년의 지역 정착과 정책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청년부군수 제도를 도입했다.
청년부군수는 청년을 군정의 공식 행정 파트너로 인정하고, 정책 기획부터 집행까지 실질적인 참여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군은 기존의 청년 유입 정책에서 나아가 청년과의 ‘동반자 모델’을 구축해 행정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청년부군수 제도는 단순한 자문 역할을 넘어, 청년이 군정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정책에 참여하는 구조로 평가받는다.
특히, 지난 7월 안동에서 열린 ‘2025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공동체 강화 분야 우수상을 수상하며 전국적인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했다.
영광군 관계자는 “청년전용예산제와 청년부군수 제도를 통해 청년이 직접 지역 변화의 주체로 나서는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해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청년이 살고 싶은 지역, 함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영광을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