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1호기가 운전 종료를 100일 앞두고, 영광핵발전소 대응호남권공동행동 등 종교·시민단체들이 주최한 ‘한빛원전 1호기 영구정지 D-100일 선포식’이 15일 영광 한빛원전 앞에서 열렸다.
한빛원전 1호기가 운전 종료를 100일 앞두고, 시민사회는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 시도에 강하게 반발하며, 안전성과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촉구했다.
영광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 등 종교·시민단체들이 주최한 ‘한빛원전 1호기 영구정지 D-100일 선포식’이 15일 영광군 한빛원전 앞에서 열렸다.
행사 참가자들은 이날 발표한 선언문에서 한빛 1호기를 “40년간 사고와 고장, 부실 운영으로 주민들을 불안하게 만든 대표적인 노후 원전”으로 규정했다. 특히, 2019년 제어봉 오작동에 따른 열출력 급증 사고는 체르노빌을 떠올리게 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이어, 사고 당시 자격이 없는 운전자가 제어에 투입된 것을 지적하며,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의 관리 부실에 책임을 물었다.
또한, 격납건물에서 발견된 76cm에 이르는 공극 35곳, 두께 기준 이하 철판 3,836곳 등의 문제도 강조됐다. 이들은 “한빛 1호기는 구조적으로 자연재해에도 취약하다”며 “격납건물 전수조사와 보수조치에 대한 투명한 검증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현재 진행 중인 한빛 1호기의 수명연장 심사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대했다.
원안위는 한수원이 제출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와 사고관리계획서 등을 바탕으로 수명연장 여부를 검토 중이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해당 평가서들이 “형식적이고 부실하다”고 주장한다. “중대사고에 대한 영향과 주민보호 대책이 빠져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고관리계획서 심사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도입된 필수 절차임에도, 6년째 승인되지 못하고 있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온 노후 원전 수명연장 기조에 대해서도 “시한폭탄”이라고 표현했다. 이들은 “탄핵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정당성을 상실했다”며, “남은 기간 동안 한빛 1호기가 안전하게 가동을 멈출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빛 1호기는 오는 12월 22일 영구정지를 앞두고 있다.